다양한 서양 학문에 영향력 있는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사상가, 객관적 관념론(objective idealism)의 창시자인 플라톤( 기원전 428년/기원전 427년 또는 기원전 424년/기원전 424년 [a] ~ 기원전 348년/기원전 347년)은 소크라테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이며, 대학의 원형인 고등 교육 기관 ‘아카데메이아’의 교육자이다. 플라톤은 아카데메이아에서 폭넓은 주제를 강의하였다. 특히 정치학, 인식론, 윤리학, 형이상학 등 많은 철학적 주제에 관해 글을 쓰기도 하였다. 대화편은 플라톤 저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비록 일부 편지는 단지 그의 이름을 붙여서 전해지지만, 플라톤이 쓴 진짜 대화편은 모두 완전하게 전해진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학자들의 합의에 따라, ‘데모도 코스’와 ‘알키비아데스 II’ 등과 같은 대화편은 대개 위조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스인들이 플라톤의 것으로 생각하는 ‘알키비아데스 I’과 ‘클레이 토론’ 등과 같은 대화편은 의심스럽다. 편지는 거의 모두 위조되었다고 대개 여기며, 예외로 일곱 번째 편지만 위조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데아론은 다른 말로는 형상 이론(形相理論, Theory of Forms) 또는 원형 이론(原形理論, Theory of Forms)이라고도 한다. 플라톤주의의 중심 컨셉트는 이데아론(Theory of Ideas)이다. 플라톤주의의 이데아론에 따르자면 세상 사물들의 본래의 모습은 초월적이며 완전한 원형(原形, archetypes)이며, 물질 세상의 사물들은 그 형상들(forms) 즉 원형들 또는 이데아들(ideas)의 불완전한 복사체(複寫體)이다. 그리고 선의 이데아(Form of the Good: 선한 존재라는 지고한 이데아)란 가장 완전한 형태의 원형 또는 이데아인데, 이 선의 이데아는 모든 다른 원형들 즉 이데아들이 나오는 근본이 된다. 그리고, 플라톤주의자들은 이 선의 이데아를 이성(理性)에 의해 알 수 있다고 보았다. 플라톤주의는 플라톤(428/427~348/347 BC)의 철학을 지칭하거나 또는 플라톤의 철학에서 특히 유래한 것으로 간주하는 다른 철학의 체계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플라톤주의(Platonism)는 다른 말로는 플라톤 철학(Platonic philosophy) 또는 플라톤 철학 전통이라고도 한다. 좁은 의미로는 플라톤주의는 플라톤의 실재론(Platonic realism)을 의미한다. 플라톤(428/427~348/347 BC)은 고대 아테네에 기원전 387년경에 철학 학교인 아카데미아를 열었다. 플라톤주의에 대한 시기 구분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지 않고 플라톤의 사망 연도인 기원전 347년을 을 기점으로 하여 크게 다음의 세 시기로 구분한다.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이 육체와 결합한 충동적이며 감각적 욕망을 추구하는 정욕과, 육체와 결합하지 않으며 죽지 아니하는 순수한 이성으로 되어 있다고 하고, '이성'은 매우 순수한 것이지만 이 세계의 배후에 있는 완전 지성 실 체계인 이데아를 직관할 수 없으며 세상에 탄생하여 육체 속에 듦으로써 이데아를 잊고 있다. 이 잊었던 이데아를 동경하는 마음이 에로스이며, 현상을 보고 그 원형인 이데아를 '상기'하여(상기설), 인식하는 것이 진리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의 정육점 부분의 덕을 절제, 인간의 이성적 부분의 덕이 지혜이며, 이성의 명령에 복종하여 정욕을 억압하는 기개의 덕을 용기라고 하는 것이다. 여러 덕이 알맞게 그 기능을 발휘할 때의 상태를 올바름이라 말한다. 그는 이러한 덕론을 통하여 인간 개인의 윤리학을 논하였다. 그러나 정의의 실현은 개인의 덕을 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사회 전체의 윤리설을 주장하였다. 그것이 그의 '국가(Politeia)'이다. 아카데미아 시대 고(古) 아카데미아 시대: c. 347~266 BC 중기 아카데미아 시대: c. 266~160 BC 신(新) 아카데미아 시대: c. 160~84 BC 중기 플라톤주의: c. 130 BC~AD 2세기 후반 신플라톤주의: AD 3세기에 시작고(古) 아카데미아(c. 347~266 BC) 시대란 플라톤의 사후로부터 기원전 266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기원전 3세기에 아르케 신라로(Arcesilaus: c. 316~c. 241 BC)는 아카데미아의 6번째 교장이었다. 철학적 회의론을 채택하면서 중기 아카데미아(c. 266~160 BC)를 설립하였다. 아르케 실라오스의 회의론적 학풍은 신(新) 아카데미아(c. 160~84 BC) 시대를 거쳐 기원전 90년경의 안티오코스(Antiochus: c. 130~68 BC) 때까지 지속되었다. 플라톤주의는 신앙 체계와 서양의 사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플라톤주의 컨셉트가 정통파 기독교 교회와 나 스틱 파(Gnostics 영지주의자)에 의해 선택되었는데, 이들은 플라톤주의의 중심 컨셉트인 원형들 즉 이데아들을 신의 생각들(God's thoughts: 하느님의 생각들)이라고 이해하였다. 한편, 신플라톤주의는 특히 기독교 신비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안티오코스는 중기 플라톤주의(c. 130 BC~AD 2세기 후반) 시대를 열었다. 스토아 철학(BC 3세기~AD 2세기)의 요소들을 수용하고 철학적 회의론을 배척하였다. 기원후 3세기에, 플로티노스(c. 204~270)는 신비주의적인 요소들을 추가하여 신플라톤주의를 확립하였다. 신플라톤주의에 따르면 지고한 존재는 만물의 근원인 존재인데 신플라톤주의자들은 이 지고한 존재를 '모나드(Monad)' 즉 '선한 존재(the Good: 선)' 또는 '하나인 존재(the One: 하나)',라 불렀다. 신플라톤주의자들은 영혼이 덕과 명상을 통해 자신을 상승시켜 '하나인 존재'와 스스로를 합일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여겼다.